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1차원 DP
- 2차원 dp
- 99클럽
- @BeforeAll
- @BeforeEach
- @Builder
- @Entity
- @GeneratedValue
- @GenericGenerator
- @NoargsConstructor
- @Query
- @Table
- @Transactional
- Actions
- Amazon EFS
- amazon fsx
- Android Studio
- ANSI SQL
- api gateway 설계
- api gateway 필터
- ApplicationEvent
- assertThat
- async/await
- AVG
- AWS
- aws eks
- AWS 프리티어
- Azure
- bind
- bitnami kafka
- Today
- Total
목록Kotlin (2)
기록

시작하면서 Spring Boot, JPA, Kotlin, H2(개발용 DB)을 활용하여 Notice 테이블의 목록 조회와 삽입을 구현하고자 했다. 그런데 아이디를 어떤 방식으로 생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. 아래는 그 내용을 다룬 포스팅이다. 프로젝트 구성 (1) 공지사항 테이블 (Notice) (2) 데이터베이스 (3) 엔드 포인드 POST /notices 공지사항 생성 GET /notices 공지사항 목록 조회 기본 키 생성 전략(IDENTITY, SEQUENCE, TABLE)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본 키(Primary Key)를 생성하는 방식으로는 여러 가지 전략이 있다. 이중에는 IDENTITY, SEQUENCE, TABLE과 같이 자주 사용된다. 각 전략은 고유한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..

개요 다른 블로그의 포스팅 중 콜백과 관련된 포스팅은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예제와 프로미스를 활용하는 개선 방법 등을 담고 있는 포스팅이 많다. 안드로이드에서는 어떻게 콜백을 이용할 수 있을까 궁금해져서, 프로젝트에 적용해보고 글로 정리해 두려고 한다. 프로젝트가 어느 정도 틀이 잡히면 기능별 모듈화를 시도한다. 프로젝트 중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코드들을 모아 network 모듈로 구성하려는 시도가 있었다. 클래스간 서로 참조하지 않도록 결합도를 낮추어야 했고, 여기에 callback을 이용했다. 해당 프로젝트의 정보 : db(firebase), front(android) 순서 1) RequestListener.kt 만들기 2) GetRequest.kt 만들기 3) Activity에서 호출 예제 1) Re..